투자 및 경영

기업 재무관련 핵심지표 정리

브래드 킴 2023. 10. 8. 16:04
728x90

per, pbr등 주식투자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여러 지표에 대한 의미와 활용에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본다.

 

  1. PER(Price/Earning Ratio) : 주가수익률
    • 의미: 주식의 가격을 당기 순이익(또는 예상 순이익)으로 나눈 값. 기업의 주식 한 주당 수익에 대한 시장의 평가를 의미
    • 활용: P/E가 높다는 것은 주식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 반대로 낮은 P/E는 주식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었다는 것을 의미. PER의 평균치는 업종에 따라 다르고, 향후 기대되는 순이익 수치가 높은 IT업종은 30배 이상의 상대적으로 높은 PER을 보임.
  2. PBR(Price/Book Ratio) : 주가 자산률
    • 의미: 주식의 가격을 자기자본(순자산가치)으로 나눈 값. 기업의 주식 한 주당 자본에 대한 시장의 평가를 의미.
    • 활용: P/B가 1보다 낮다면 주식이 장부가치보다 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음. 그러나, 업종에 따라 평균치가 다르고, 고성장 IT 기업은 미래의 성장을 반영하여 자본대비 높은 주가를 보이는 높은 P/B 성향을 보임.
  3. EPS (Earnings Per Share) : 주당순이익
    • 의미: 당기 순이익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값
  4. ROE (Return On Equity) : 자기자본이익률
    • 의미: 기업의 순이익을 평균 자기자본으로 나눈 값. 즉, 종잣돈 대비 얼만큼의 순이익을 거두고 있는지를 의미하는 지표로서, 기업이 자기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해 수익을 창출하는지 나타냄.
    • 활용: 높은 ROE는 효율적인 자본 사용을 나타낼 수 있음.
  5. 부채비율
    • 의미: 총 부채를 총 자본으로 나눈 값.
    • 활용: 한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의 전체 평균 부채비율은 60~70% 보이고 있고, 이는 업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으므로 업종에 따른 평균적인 부채비율 수준을 확인한 후에 본인이 검토하는 회사의 부채비율을 평가할 수 있겠다. 
  6. 배당수익률
    • 의미: 주식의 배당금을 주가로 나눈 값. 투자자가 받는 배당의 수익률을 나타냄.
  7. 유동비율
    • 의미: (유동자산/유동부채) * 100
    • 활용: 단시일내에 현금화 할수 있는 유동자산과 단시일내에 상환해야 하는 유동부채의 비율. 하단의 이미지와 같이, 투자 대상 기업의 사업보고서 중에 재무상태표에서 유동자산과 유동부채란의 수치를 통해 해당 회사의 유동비율을 구할수 있음.
  8. 현금비율
    • 의미: (현금및현금성자산 + 단기금융상품) / 유동부채 * 100. 해당 회사가 단시일내에 사용 가능한 현금이 단시일내에 빠져나가야 하는 부채에 비해서 얼마나 많은지에 대한 지표.
    • 활용 : 지금같은 고금리 시대에 현금 많은 회사를 고려중이라면 해당 회사의 재무재표에서 아래와 같은 지표를 확인한 후에 안정성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 (현금 / 유동부채)의 지표인만큼 다소 보수적인 관점의 지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