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및 경영

쉽고 빠르게 재무제표(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보는법

김선국 강사 2023. 10. 8. 16:28
728x90

이글에서는 주식투자를 위해 최소한의 재무제표를 볼수 있는 지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에 상장된 회사의 자세한 재무제표를 보고 싶다면, https://dart.fss.or.kr/ 에서 회사명을 검색한 뒤에 여러 보고서 중에, 아래와 같이 사업보고서를 찾아서 그 중에 재무에 관한 사항에서 요약재무정보를 보면된다. 
 
 

먼저, 재무제표 부터 살펴보자.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 손익계산서를 의미한다. 이 중 재무상태표는 아래와 같이 현재시점의 기업의 재무상태를 의미한다. 회계의 기본인 자산(차변-왼쪽) = 부채+자본 (대변-오른쪽)으로 구성이 된다.

 
회계에서 재무상태표의 차변과 대변은 어느 한쪽이 늘어나더라도 같이 늘어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회사가 당해에 사업을 잘하여 이익이 늘어나게 되면,  대변의 자본의 이익잉여금 항목이 늘어나게 되고 이때 현금이 생겼났다고 가정한다면, 차변에는 자산의 유동자산내 현금 항목에 기록이 되게 된다.
 
또한, 부채를 100% 발생시켜 건물을 취득했다치면 차변에 자산에는 건물이라는 자산이 취득금액만큼 기록이 될것이고, 대변에는 그 금액만큼의 부채가 발생될것이다. 
 
다음은 손익계산서이다. 손익계산서는 특정한기간 동안 발생한 영업활동의 결과로서, 단순히 말해 매출-비용 = 이익의 산식을 가진 영업활동의 결과를 나타낸다.

위 그림은 많은 부분이 생략돼 있는 단순한 그림이고, 실제 회계는 세법에 따라 매우 복잡한 산식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큰 틀에서만 각 항목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만 설명하겠다.
 
매출은 말그대로 영업활동을 통해 나온 수익이고, 매출 - 매출원가 - 판관비가 영업이익을 의미한다. 회사의 영업을 통해 발생한 수익에서 비용을 제한 이익 영업이익이다.
 
영업이익 - 금융비용 + 금융수익 - 법인세 = 당기순이익. 영업외에 이익과 수익을 가감한 것이 당기순이익이 된다. 그래서, 회사의 영업외적인 수익과 비용이 많은 회사의 경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크게 차이가 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
 

728x90

'투자 및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 재무관련 핵심지표 정리  (0) 2023.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