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devops 15

리눅스 chown, chmod

chmod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파일/디렉토리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는 명령어이다. 리눅스에서는 파일에 대한 권한 주체 단위를 3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소유권에 대한 3가지 구분 1)해당 파일/디렉토리의 소유자(owner) : 말그대로 해당 파일에 대한 소유자 2)소유그룹(group) : 소유자가 속한 group. 리눅스에서 group이란 user1 user2등 특정 사용자들을 그룹핑한 모음이다. group별로 파일에 대한 group ownership을 부여하여, 소유자가 아니더라도 소유자가 속한 그룹에 속하여 있는 user라면 그룹에 대한 별도의 권한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3)그외(others) : 소유자도 아니고, 소유그룹에 속하지도 않는 사용자. 예를 들어, ls -al 명령어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

2022 현재 리눅스 배포판 점유율 현황

리눅스 배포판이란 리눅스커널이라는 공통된 운영체제 커널을 사용하되 갖가지 다른 응용프로그램을 다르게 조합해 만든, 리눅스 운영체제를 의미한다. 오늘날 600가지 이상의 배포판이 사용되고 있다.(출처: Tecmint) 이 수많은 리눅스 배포판 중에서 2022년 현재 리눅스 내의 점유율은 어떻게 되는지 살펴 보자. 크게 데비안계열(ubuntu, debian)과 레드헷계열(redhat, centos)위주로 살펴보겠다. 위 통계를 보면 우분투(Ubuntu)는 리눅스배포판 내에서 대략 33.9%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현재 운영되는 모든 웹사이트를 기준으로 산정한 것이고, Debian은 약 16%를 차지하고 있다. (출처: W3Techs) 우분투가 데비안에서 나온 운영체제이니 데비안 계열이 50%이상을 ..

DB,서버 타임존 일괄 UTC 세팅 후 client에서 KST 출력

하나의 웹서비스를 특정 지역에서 제공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고민하게 되는 개발이슈는 local 시간에 대한 문제이다. 글로벌한 회사들은 고민의 여지 없이 DB,linux,서버프로그램의 모든 서버의 시간대를 UTC로 설정한 뒤에, 클라이언트 화면단에서 각각의 국가에 맞게 시간을 세팅하여 화면을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 공공기관 같은 경우에는 경험상 서버, DB세팅을 한국시간대인 KST로 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사실, KST로 세팅하게 되면 DB에 저장되는 생성일, 수정일 등의 날짜와 서버로그 또한 한국시간대로 설정이 되어 보고를 위한 데이터추출 또는 로그트래킹 등 개발자들입장에서 편리한 부분이 많은것도 사실이다. 다만, UTC든 KST든 통일된 시간대로 운영체제, ..

linux 명령어 정리

평소 자주 까먹거나, 뭔가 개념적으로 헤깔렸던 리눅스 주요 명령어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헤깔렸거나 이해가 부족했던 명령어와 옵션에 대해서 주로 다뤄보고자 한다. (계속해서 업데이트할 예정) sudo 현재 계정에서 root 권한을 이용하여 명령어를 실행 예를들어) sudo apt-get update 입력 후 현재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 su 로그아웃을 하지 않고 다른 계정으로 전환하는 명령어 (전환하고자 하는 계정의 비밀번호 입력) root 사용자로 변경할때 사용. (root 비밀번호 입력해야 함에 유의) su su - su와 su-의 차이 su 명령어는 현재 계정의 환경변수들을 유지한 채, 대상 계정으로 전환한다. 반면에 su - 명령어는 다른 사용자의 계정으로 전환하고 환경변수까지 그 계정의 상태로 ..

개발팀 slack봇 알림 활용 총정리

흔히들 배포 알림 목적으로 slack을 연동시키거나, 프로그램 내에 슬랙 api를 호출하여 특정 변경사항을 알림을 받는 용도로 슬랙을 사용하고 있을 것 같다. 슬랙봇 기능을 개발팀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정리해보았다. git 배포 여부 slack으로 알림 - github앱 구독 절차 : 설정 및 관리 -> 앱관리 -> github앱 설치-> 알림받을 채널선택 -> 해당 채널에 깃앱 추가하고 아래 명령어로 연결 /github subscribe owner명/repositoy명 -> github계정 connect github 레포지토리에서 발생하는 commit, pr등의 상황을 구독 특징 : 매우간편 slack 봇을 만들기 - OAuth token 을 사용 절차 : slack api에서 앱 생성 및 토큰 발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