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기초적이고 자주쓰이는 명령어는 제외하였고, 종종 쓰긴하지만 헤깔리는 git 명령어 + 옵션을 위주로 정리 하였다. git init 등 git init 먼저, 새로운 저장소를 생성하는 명령어 이다. 저장소 정보가 담긴 .git 폴더가 생성이 된다. 일반적으로는 프로젝트 생성과 배포를 할때에 원격저장소와 연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단계를 거친다. 프로젝트 생성 및 개발수행 -> git init -> github에서 repository 생성 -> git remote add -> git add . -> git commit -m "첫번째커밋" -> git push origin main 또는 아래와 같이 원격저장소를 먼저 만든 다음에 git clone을 통해 원격저장소 주소와 정보가 모두 담긴 f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