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5

spring cloud msa 강의 후기

실무에 가보면 대규모 시스템 뿐만 아니라, 작은 스타트업에서도 msa 로 시스템을 개발하고 운영하고 있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 msa의 장단점은 명확하지만, 모든 IT회사의 꿈은 서비스가 확장되고 트래픽이 증가하여 서버에 부하가 발생하는 것이기에 서비스를 이제 막 시작하는 회사의 개발자들의 꿈이 회사의 시스템에 반영되는것 같다. 물론 트래픽이 생각만큼 나오지 않는다면 이 설계가 불필요한 오버엔지니어링이 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지난주 강의 내용 지난주에는 msa아키텍처 설계를 위한 도구로서 spring cloud의 몇가지 서비스들을 다루어보았다. spring cloud gateway와 eureka서비스를 중심으로 order_system을 item, member, ordering 3개로 쪼개어 각기 다른 ..

vue.js 프레임워크 강의 후기

총 6개월의 교육기간 중에 3개월 가량이 지났다. 겨울도 어느덧 끝나가는듯한 느낌이들고, 이제 봄이 오고 남은 3개월도 금방 지나가겠지? 인생이 80년쯤된다 치면, 6개월이라는 시간은 전체 인생의 1/160 정도 되는 시간일것이고 이미 인생의 절반 조금 안되게 살아온 내게는 6개월이 남은 시간의 1/80 정도 되는 시간이라고 생각된다. 80장의 카드 중에 1장을 너무 쉽게 써버리면 안될것 같다. 새삼 내게 주어진 시간의 유한함을 잊지말고, 살아가야겠다는 생각이든다. 지난주 강의 내용 vue.js 프레임워크에 대한 강의를 진행했다. node를 설치해서 npm 명령어를 이용하여 vue프로젝트를 생성했고, order_system api에 맞는 화면을 하나씩 만들어갔다. 라우터를 활용했고, 컴포넌트를 사용해서 ..

spring 강의 마무리

한주간 강의 내용 위 사진은 이번주 한주간 강의 했던 내용 중에 가장 중요한 2가지 내용이 아니었나 싶다. 먼저, aop와 controlleradvice등 미들웨어성 기술을 활용해서 공통 로깅과 예외처리 작업을 수행했다. 실무코드에 반드시 있는 기술들이니 반드시 복습하고 추후 활용하길 바란다. 이번주는 로그인 기술에 대한 실습과 이론내용을 수업의 주를 이루었던것 같다. 로그인방법에는 크게 세션방식과 토큰방식이 있다. 세션은 서버에서 사용자의 세션ID를 관리하고 세션저장소에 사용자 정보를 저장해두고 인증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토큰은 서버에서 사용자의 로그인상태를 관리하지 않고, 토큰의 signature를 통해 사용자의 토큰을 매API요청마다 검사하는 방식으로 인증여부를 확인한다. 토큰방식의 stateles..

spring 게시판 강의

이번주 강의 내용 author와 post 엔티티를 가진 게시판 서비스를 두고 본격적으로 springboot와 jpa강의가 시작되었다. 두 엔티티간의 연계를 위해 OneToMany, ManyToOne 어노테이션과 관련된 주요 옵션에 대해 강조했다. 연관관계의 주인이 누구인지, 지연로딩과 즉시로딩은 무엇인지, 그리고 N+1문제는 왜 발생하고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해 실습코드를 통해 확인해 보았다. OneToMany, ManyToOne, OneToOne 등 습관적으로 코드를 짜는 것은 어렵지 않을것이나, 이론적인 백그라운드가 있어야 면접에서 주요 이슈사항에 대해 대답할 수 있을것이므로 코드와 이론을 번갈아가면서 잘 정리하길 바란다. 테스트코드 작성을 통해 어떤 목적을 가지고 테스트코드를 작성하는지, 각 ..

Spring 기본 강의

이번주 강의 내용 이번주에는 스프링 기본강의를 진행했다. 주로 Controller에서의 http통신을 위해 값을 주고받는 패턴과 Repository 레이어에서의 기술들에 대해 학습했다. Repository는 JDBC, mybatis, jpa ,spring data jpa에 대해 배웠고, spring data jpa를 위주로 향후 수업이 진행될 예정이라 더 강조해서 진행했다. 나머지 기술도 추후 본인이 어떤 회사에서 어떤 기술을 사용하게 될지 알수 없으니, 한번쯤은 복습해두길 바란다. 해당 기술을 통해 orm기술인 spring data jpa가 어떤 측면에서 편의가 향상됐는지도 이해할수 있을것이다. jpa는 아직 본격적인 DB관계성이 나오질 않아 Entity를 통해 DB를 생성하는 기본적인 방법과 내장된 ..

코딩페스티벌과 스프링시작

3기 코딩 페스티벌 여태 배웠던 프로그래밍 언어 기술을 검증하고 활용하는 차원에서 한화시스템 beyond sw 3기 코딩페스티벌을 열어봤다. 항상 쫓기는 커리큘럼탓에 짧은 시간밖에 진행되지 못했지만, 수강생들의 발전된 실력에 감탄하는 시간이었다. 실전 코딩테스트처럼 1시간 가량을 주고 개인적으로 문제를 풀어보고, 조별로 코드리뷰를 거친뒤, 발표 후 토론하는 과정이었다. 문제의 난이도는 프로그래머스 기준 lv2~lv3 수준의 문제였고, 카카오 블라인드 기출도 들어 있으니, 왠만한 기업 코테문제 중 중상급 난이도에 속하는 문제들이었다고 생각한다. 사실, 원래 잘했던 수강생들은 한번쯤 풀어봤을만한 문제일테고 이 문제풀이 시간이 크게 의미가 없었을지도 모르나, 프로그래밍 자체를 처음하거나, 기초가 부실해서 수강..

html, css, javascript 강의 후기

이번주 내용은 java spring에 비해 부담도 덜한 과목이고 난이도도 낮은편이다 보니, 수강생들도 잘 따라오는것 같고 내 마음도 편안했다. 날씨도 겨울인데 봄날씨 처럼 포근하니, 오후가 되면 행복지수가 올라갔다. 나는 매서운 한파보단 땀 줄줄 흐르는 찌는듯한 여름이 더 좋다. 빨리 봄이오고 여름이 오면좋겠다. 한주간 강의 내용 리뷰 한화시스템 부트캠프 8주차에는 html, css, javascript에 대해 강의했다. html에는 수많은 태그가 있으나, 그 중에 빈번히 사용하는 태그 위주로 다뤘다. 특히, form, table, div 태그 등을 강조하고 활용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웹페이지에서 html이 어떻게 사용자에게 렌더링되고 개발자도구를 통해 어떻게 확인할수 있는지에 대한 구조를 학습..

java 알고리즘 강의 후기

1주간 강의 회고 한화시스템 beyond sw 3기 과정이 7주차가 끝이 났다. 프로젝트 제외하고 강의커리큘럼은 4달쯤 잡혀있으니, 어느덧 절반가까이 지난셈이다. linux DB를 2주쯤 강의했고, java와 자료구조를 4주쯤, 알고리즘을 1주 정도 진행하는 과정이었다. cto훈님의 말씀대로 알고리즘 파트는 java 기본 문법에 대한 온전한 이해가 있어야 그나마 따라갈수 있는 파트이기에, java가 어려웠던 수강생들은 당연히 알고리즘은 많이 어려웠을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주로 dfs, bfs를 중점적으로 코드소개와 문제풀이를 진행했다. 그외의 알고리즘은 전형적인 스타일이 존재하기보다는 스스로의 다양한 문제풀이가 중요하기에 애초에 가벼운 소개정도로 진행할 계획이긴 했다. 그런데 이번주에는 수강생분들께 죄송..

java 강의 후기

수업내용 회고 이번주에는 메서드(재귀함수포함), 클래스, 추상클래스, 인터페이스, 익명클래스(익명객체), 그리고 익명객체를 쉽게 표현하기 위한 람다표현식까지 이어지는 한 흐름을 강의했다. 익명객체, 람다표현식, StreamAPI, Optional객체까지 이어지는 한 흐름을 최대한 연결성 있게 강의하려고 애를 썼다. 금주 수업 파트에서는 재귀함수 부분과 대표적인 익명객체의 인터페이스인 Comparator의 활용부분을 수강생분들이 가장 어려워하지 않았나 싶다. 특히 재귀함수를 이틀가까이 붙잡고 조합,순열같은 응용문제까지 풀어보면서 어떻게든 기본적인 패턴을 익히게 해주려고 애를 썼으나, 초심자가 단박에 온전히 이해하고 활용하기에는 쉽지 않은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고급 문제풀이 영역으로 가기 위한 관문과도 같..

직업으로서의 강사의 재미

직업으로서 강사의 재미는 뭘까? 수강생이 이해하기가 어려울 개념들을 고민끝에 나름 명쾌하게 설명을 하고, 그로인해 수강생의 시간을 덜어줬다는 기분이 들었을때 재밌다. 수강생의 일취월장해가는 듯한 성취를 볼때도 재밌다. 물론, 그런 모습을 보이는 수강생은 어딜가도 잘했을 사람이겠지만 그럼에도 괜히 보람됨을 느낀다. 수강생의 날카로운 질문을 통해 나 또한 생각못했던 부분들에서 인사이트를 얻게 되고, 함께 배우며 성장하는듯한 느낌이 들때 시간가는줄 모르고 재밌다. 이번주는 java에서 중요한 자료형들 list, map, set, queue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다루었고, 클래스와 객체까지 가르쳤다. 매일 매일 치열하게 강의준비를 해야하는 도전적인 한주 였고, 매 순간 긴장감을 느끼며 수강생분들 덕분에 종종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