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gw가 붙은 외부인터넷용 VPC와 igw가 없는 내부용VPC 구성을 일전에 설명한 바 있다.(참고:https://severalpg.tistory.com/90) 내부용 VPC라 하더라도, 외부로의 outbound 인터넷은 대부분의 경우 필요하다. outbound인터넷을 하려면 nat게이트웨이가 필요할텐데, nat게이트웨이는 public한 subnet에 구성되어야 한다. 즉, public서브넷이 구성 가능한 VPC와 내부 private VPC와의 연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여기서는 Transit Gateway를 사용할 것이다. 이와 관련된 AWS공식 문서가 있으니,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공식문서를 꼼꼼히 읽어보고 시간이 없다면 이글에서 간단히 어떻게 구축하는 것인지 참고용으로 보면 되겠다. 참고)공식문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