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5

한화시스템 beyond 7기 - 5주차-클래스와 객체

이번주에는 java의 클래스란 무엇이고, 객체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학습했다. 우리 커리큘럼을 통틀어 가장 중요한 부분일수 있기에 이해도가 부족하다 생각했던 수강생은 반드시 확실한 이해를 갖고 넘어가야 한다. 클래스와 객체에 대한 공부방법은 수업에서 실습예제로 주어졌던 author/post, bankservice 등을 내용을 안보고 다시 만들어 보는게 가장 좋다. 다시 만들어 보면서 내가 모르는게 뭐였는지 확실해 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형식의 공부는 절대 눈으로만 보며 외우는 암기과목이 아니고, 알고리즘 문제풀이처럼 확실한 답을 찾는 과정도 아니기에, 다시 코딩하며 만들어보기 과정이 가장 좋은 방법이 아닐까 싶다. 추후 스프링도 이런식의 공부방법을 통해 코딩에 대..

한화시스템 beyond 7기 - 4주차 - java시작

DB프로젝트가 마무리되고 화요일부터 java가 시작되었다. java에 들어오면서 기초가 부족한 수강생들이 보이기 시작하는데, java의 경우 지금 배우는 내용이 계속해서 연속성을 가지고 spring까지 이어지니 반드시 철저히 복습하고 수업내용을 소화할수 있도록 공부량을 늘려야 할것 같다. 현재 진도는 기본자료형, 제어문을 지나 벌써 배열에 대해서 학습하고 있는데, 앞으로도 매일 8시간 수업이 진행되기에 빠른 속도로 진도가 나아가게 될 것이고 이를 소화하기 위해서 치열한 학습이 필요하다. 현재 부족한 실력을 갖추고 있으면 앞으로 성장할 여력도 많다는 것이기에, 본인의 역량과 실력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면서도 항상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으면 좋을것 같다. 여태 수강생들을 지켜보면서 가장 성장하지 못하는 유형..

한화시스템 beyond 7기 - 3주차!!

이번주에는 주로 git과 github의 다양한 기능을 학습했다. 실무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게 될 프로그램 중 하나이고, 앞으로 프로젝트때마다 빈번히 사용하게 될 것이기에 중요한 파트였다. 이번기회에 git을 제대로 한번 정리를 하길 바라고 추후에 실무에 가서 더욱 깊게 공부하면 좋을것 같다(추천도서: pro git).드디어 첫번째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db만 설계하는 프로젝트이기에 다소 짧은 시간이 배정됐지만 수강생들이 미리미리 기획회의를 시작했고, 벌써 어느정도 완성이 된것으로 보인다. 적극적으로 프로젝트를 이끌어가는 모습과 열정이 느껴져서 보기 좋았다.앞으로 하게될 모든 프로젝트가 어쩔수 없이 시간에 쫓기는 타이트한 시간이 배정될 것인데, 수강생들이 항상 최선의 결과를 만들어내고자 하는 열정을..

한화시스템 beyond 7기 - 2주차-DB심화

이번주에는 트랜잭션부터 시작되는 DB심화부분을 중점적으로 수업시간에 다뤘다. 트랜잭션과 DB동시성이슈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DB격리수준은 매우 중요하지만, 수강생들 입장에서는 보통 크게 와닿게 느껴지지 않는 이슈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추후 java와 spring을 배우고 개발을 할때에 DB 동시성 문제를 고려하지 않아도 프로그램이 잘 돌아가는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이고 특히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는 서비스라면 위의 이슈들은 반드시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것은 알고 있으면 한다. 지금 위 이슈사항에 대해 잘 정리가 안되는 수강생은 현 단계에서는 과감히 넘어가도 크게 문제가 되는 것은 없지만, 추후에 실력이 쌓일때 다시 한번 리뷰해봤으면 한다. DB수업이 이제 하루밖에 남지 ..

한화시스템 beyond 7기 - 첫 주 수업(리눅스, DB기초)

새로운 7기와 함께 한화시스템 sw부트캠프가 시작됐습니다. 2일간의 수업에서는 수업전반의 OT와 리눅스를 시작했고, 주로 기초적인 쉘 명령어를 배웠습니다. 기본적인 쉘명령어는 백엔드 개발자가 알아야 하는 기본소양(?)같은 것들이니, 추후 수업과의 연속성은 떨어진다 하더라도 중요합니다. DB는 6개월 수업의 근간이 되는 중요한 과목인만큼 매일매일의 복습이 중요합니다. 오늘내용이 이해가 안됐으면 다음날 수업에 누적적으로 영향을 끼치게 되니 반드시 이해를 하고 넘어가야 합니다. 암기를 위한 복습은 혼자 할수 있으나, 이해가 안된다면 수업이 끝난뒤 학원에 남아서 질문을 하며 이해한 후에 복습하면 좋을 것 같아요. 물론 가장 좋은것은 수업중간에 바로바로 질문하면서 넘어가는게 가장 효율적입니다. 내가 헤깔리는것은..

한화시스템 beyond 3기 - 한화시스템sw부트캠프 3기를 마무리하며

길게만 느껴졌던, 6개월이 어느새 훌쩍 끝이 나버렸다. 어제 최종프로젝트 발표를 끝내고 수료식을 통해 수강생들과 마지막 작별인사도 했다. 최종프로젝트 결과는 모든 팀이 좋은 결과물들을 만들어냈고, 마지막 발표마저도 훌륭하게 해내줘서 뿌듯함이 느껴졌다. 6개월간 5층 강의실에서는 기쁨, 감동, 좌절 등 수많은 감정들을 3기 수강생들과 함께 나누었다. 매일 8시간 이상씩 6개월간 함께 지내며 같이 공부하고 쉬는시간엔 웃고 떠들고 같이 점심을 먹었다. 프로젝트를 수행해 내면서 모르는게 있으면 서로 물어보고 어려운 이슈를 해냈을때 다 같이 박수를 치며 기뻐했다. 수강생 한 명 한 명이 순수하고 착했고, 그렇지 않은 나도 그들과 함께 있으니 순수한 감정을 느낄수 있었다. 이런 만남이 언제 또 있었을까 싶었을만큼 ..

한화시스템 beyond 3기 - 4달의 부트캠프 강의 후기

11월 14일에 첫 강의 OT와 함께 강의가 시작되었고, 3월 13일 데브옵스 프로젝트를 끝으로 "한화시스템 beyond sw camp" 의 기본 교육커리큘럼은 끝이 났다. 3월14일부터 5월9일까지는 이제 여태 배운 지식을 총동원한 최종프로젝트가 진행된다. 4달간 강의회고일단, 4달간 부족한 강의를 열심히 들어주고, 항상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준 수강생들에게 큰 감사를 드리고 싶다. 마지막 강의였던, jenkins 마무리 시간에 뭐 수상소감 또는 작별인사 마냥 되는것이 어색해서, 다들 고생했다고 제대로 말도 못 전하고 어정쩡하게 강의가 마무리가 돼서 이 글을 빌어 다시 한번 감사를 전한다. 묵묵히 강의내용을 복습하고 열심히 공부해주는 모습. 수업시간의 실습내용을 열심히 캡쳐를 떠서 자료정리를 해주시..

한화시스템 beyond 3기 - devops와 k8s(쿠버네티스) 강의 후기

github action을 활용한 기초적인 jar파일 자동 배포부터 devops수업이 시작되었다.그 과정에서 aws의 기본적인 서비스인 ec2, rds, vpc와 보안그룹, 로드밸런서, iam 등을 활용해보았다. docker를 배우면서 dockerhub에 이미지를 배포했고, ec2에 jar 배포가 아닌 이미지를 통한 컨테이너 배포도 진행하였다. 금주에는 주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인 쿠버네티스에 대해 학습했고, aws의 k8s서비스인 eks를 활용하여 배포실습을 진행하였다. k8s는 크게는 클러스터 단위로 자원이 구분다. 클러스터내에 마스터노드를 만들고, 워커노드를 추가하여 클러스터를 구성하게 된다. eks를 사용하게 되면 마스터노드를 별도로 구성할 필요 없이 주요 요소들이 클러스터 생성과 동시에..

한화시스템 부트캠프 3기 - 16주차 후기

어느덧 강의를 시작한지 16주가 돼가고 강의는 1주 남짓 남았다. 금요일 저녁 운동을 끝내고 음악을 들으면서 걸어 가는데, 정말 오랜만에 느껴보는 안도감과 편안함이 느껴졌다. 지난 16주간 나를 항상 불안했던 것은 나의 부족함으로 내가 맡은 많은 수강생들이 개발자로서 갖춰야 할것을 갖추지 못하게 될까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저번주 프로젝트를 거치고 강의가 끝나가는 16주차를 지나쳐가니 이제는 안심이 되는것 같다. 이제는 수강생들이 앞으로 다가올 모든 일들을 잘 해내갈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저번주 프로젝트에서 어려움을 겪고 속상해 했던 수강생들이 어느덧 훌훌 털고 다시금 공부에 집중하는 모습과 지난 프로젝트에서 부족했던 모습을 발판삼아 성장하려 하는 모습에서 대견함을 느꼈다. 또한 수업시간에 막히는 부..

한화시스템 beyond 3기 - 미니 백엔드&프론트 프로젝트 후기

한화시스템 sw 부트캠프 15주차에는 여태껏 배운 백엔드, 프론트 기술을 가지고 5일간의 미니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5일이긴 하나, 수강생들이 자발적으로 최소 1,2주전부터 프로젝트를 수업과 병행하며 진행했던것으로 알고 있다. 사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5일만에 기획, DB설계, 백엔드 개발, 프론트엔드 개발이라고 하는 하나의 완성된 서비스를 만들어내는게 쉽지 않은것은 사실이다. 서비스의 규모를 축소하고 인증같은 부가적인 서비스를 아에 붙이지 않은채 기본적인 CRUD만 만들었다면 가능할지 모르겠으나, 수강생들의 첫 프로젝트에 대한 열의는 높았다. 제한된 시간속에 프로젝트가 진행되다 보니, 다들 잠을 줄여가며 개발에 몰두했고, 5일간 수강생들의 모습은 피폐함 그자체였다. 그리고 그 피폐함은 훌륭한 결과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