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5

한화시스템 beyond 7기 - 15주차(7기 중간프로젝트 완료)

7기의 중간프로젝트가 끝났다. 7기는 백엔드/프론트 통합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됐다. 애초에 수업도 이 중간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순서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7기에서 진행한 중간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기술스택을 간단히 말하자면, 백엔드는 gradle기반 springboot로 진행했고, mariadb와 SpringDataJpa가 RDB관련기술로 사용했다. 대부분의 팀에서 수업에서 진행한 것처럼, refresh토큰저장을 위해 redis를 도입했고, 알림을 위한 sse기술과 pub/sub을 위해서도 redis가 사용됐다. 그외에 zset, list용도로 redis를 사용하기도 했다. 동시성이슈에서 비동기처리를 위한 rabbitmq 등의 써드파티 기술들도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프론트엔드는 figm..

한화시스템 beyond 7기 - 14주차 회고

7기의 백엔드/프론트 통합 미니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미니프로젝트의 완성도나 퀄리티는 최종프로젝트에 비할바는 아니겠지만, 제대로된 첫 팀플인 만큼 모든 과정이 가장 기억에 많이 남고 또 애착도 많이 가는 프로젝트가 될 것이다. 최종 프로젝트가 남았지만, 미니프로젝트의 성과물도 본인의 소중한 포트폴리오가 될 것이기에 추후 취업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프로젝트가 될것이다. 수강생들은 처음 해보는 웹프로젝트의 설렘과 아직은 미숙한 실력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뒤엉켜 많은 기분의 롤러코스터를 경험하고 있을것이라 생각한다. 이번 프로젝트의 폭풍이 지나고 나면, 최종때는 실력과 협업에 대한 요령이 월등하게 성장해 있을것이고 지금만큼 괴로워하지 않으면서도 완숙한 프로젝트 성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을테니, 지금의 힘든..

한화시스템 beyond 7기 - 13주차 회고

3월즈음 본격적으로 운동을 시작했고, 매일 일상이 바쁘다 보니 30분~50분 남짓 운동을 한다. 무게 올리는 재미가 있어서 주로 근력운동을 위주로 했지만, 최근들어서는 달리기를 추가하여 하체운동을 대신하여 하고 있다. 그런데, 요새는 왜 이렇게 달리는게 싫은지, 달리기가 하기 싫어 하루정도 운동을 빼먹었다. 과거 풀코스 마라톤을 나가기 위해서 운동했을때는 10~11속도로 런닝머신에서 매일 1시간씩 뛰곤 했었는데, 이젠 8~9을 놓고 15분 뛰는것도 버겁다. 달리기는 참 신기한 운동이라는 생각이 드는데, 이 운동만큼 정신력이 결과를 좌우하는 운동이 없는것 같다. 숨이가쁘고 다리가 뻣뻣해져도 계속 달릴 의지만 있으면 신기하게도 계속해서 달려진다. 끊임없이 뛰기싫다는 생각이 머리를 지배하지만 그저 달리는것...

한화시스템 beyond 7기 - 12주차 회고

7월이 지나가고 벌써 8월이다. 곧 뜨거운 이 여름도 지나가겠지. 나는 아침에 일찍 나오고 늦게 집에 가는게 회사를 다닐때부터 습관화가 돼 있다. 강의를 할때도 마찬가지인데, 그러다 보니 일찍오거나 늦게 남아있는 수강생들하고 아무래도 이야기할 기회가 많아진다. 이번주에는 한 수강생이 "이렇게 까지 열심히 했는데, 개발자를 1년만 하고 적성에 안 맞아 관두면 어떡하죠?"라는 얘기를 했던것이 기억에 남는다. 열심히 최선을 다하고 있는 수강생인만큼 이렇게까지 열심히 했는데, 취업에서의 좋은 성과를 얻지 못하거나, 이길이 내길이 아닐수도 있으면 어떡하나라는 생각이 충분히 들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이시간들이 충분히 가치 있다고 생각되는 것은, 지금 뜨겁게 보내고 있는 하루 그 자체로서 빛나고 있다고 생각하..

한화시스템 beyond 7기 - 11주차 후기

본격적으로 프로젝트 기간이 임박했음을 느끼는 한주였다. 수업관련 질문내용과 각팀마다의 프로젝트 사항에 대한 질문이 쏟아지는 한주이기도 했다. 공식적인 첫 웹프로젝트이고, 수강생들이 아직 수업을 채 다 듣지 못했지만 맨땅에 헤딩을 하듯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굉장히 타이트한 일정의 첫 미니 프로젝트이고, 그럼에도 나는 항상 어느정도 이상의 퀄리티를 수강생들에게 요구했다. 단순한 기능을 넘어서 다양한 기술을 접목하기를 권고했다. 3주가까이 남았지만 한주 한주가 지날때마다 수강생들은 강한 압박을 느낄것이고, 본인이 맡은 일을 해내지 못할것이라는 강한 불안함도 느낄것이다. 아마 마지막주에 이르러서는 모든걸 뽑아낸듯한 그런 감정을 느끼면서 누군가는 해냈다는 기쁨을 맛볼것이고, 누군가는 실패한 감정도 들것이다...

한화시스템 beyond 7기 - 10주차 회고

이번 한주도 순식간에 지나갔다. 나이가 들수록 일상이 반복되고 이미 해봤던 일들의 연속이라 체감되는 시간이 짧아진다고 하던데, 다행히도 나는 지금 매일 새로운 날들을 보내고 있다. 그럼에도 시간이 빠르게 지나가는것 같은건 그냥 바빠서 그런거겠지. 같은 내용의 강의를 2번째 하고 있지만, 매일의 강의 내용에 뭔가를 추가하거나 수정하거나 삭제하면서 조금이라도 더 나은 강의를 위해 나름의 노력을 하고 있고 무엇보다 강의를 듣는 수강생이 달라지고 강의실의 분위기가 달라짐에 따라 매번 새로운 강의가 되는것 같다. 매일매일이 새롭고, 기대가 되는 일상이 있다는 것은 아무한테나 주어지지 않는 행운이라는 생각이 든다. 또한, 즐거운 반분위기 속에서 강의하는 매일매일이 소중하고 즐겁다는 생각이 요즘 부쩍 든다. 부족한 ..

한화시스템 beyond 7기 - 9주차 회고

벌써 9주차라니, 시간 빠르다. 이번주에는 본격적으로 스프링이 시작되었고, 사용자로부터 들어오는 요청을 case별로 정리해보았다. 한주간 가장 중요한 내용이었으니, 사용자 요청의 다양한 패턴에 대해 반드시 다시 정리해보았으면 한다. 본격적으로 웹서비스를 위한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레이어를 두고 개발이 시작되었고, 부가적으로 DTO의 사용이유와 활용도 다루었다. 더불어, DB 접근을 위한 기술인 jdbc, mybatis, jpa, springdatajpa 까지 종류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우리 수업과 팀 프로젝트에서는 spring data jpa를 기반으로 모든 내용이 이루어질 예정이니, spring data jpa에 대해서는 차주에 다시한번 정..

한화시스템 beyond 7기 - 8주차 회고

이번주에는 주로 프론트엔드 기초에 해당하는 html/css/js에 대해 학습했다. html의 주요 태그에 대한 암기가 필요하고, css중에 자주 사용되는 요소에 대한 암기와 css가 적용되는 3가지 스타일(인라인, 내부스타일, 외부스타일)과 적용 우선순위 등에 대한 구조적 이해가 필요하다. javascript는 하나의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java와 다르게 타입이 없는 인터프리터 언어라는 점에 대한 이해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이때에 var, let, const 등의 차이에 대해 학습하였다. 또한, 객체 생성과 사용 방법에 대한 숙지가 필요하고, 스프레드 문법, 단축속성, 백틱을 사용한 변수활용 등 다소 익숙치 않을 js 문법에 대한 복습이 필요할것 같다. 더불어, js의 함수 활용방식(화살표함수, 변수할..

한화시스템 beyond 7기 - 7주차 회고!!

이번주는 알고리즘에 푹 절여졌던 한주였다. bfs, dfs, greedy, dp, 투포인터, 이분탐색 등 주요 알고리즘 문제 패턴에 대해 기본적인 학습을 하고, 심화적인 문제를 개별적으로 풀어보거나 팀단위로 풀어보면서 학습하는 시간을 가졌다. 일명 코딩페스티벌이라 칭하는 한주간을 수강생들과 즐겁게(나만?) 몰입하며 한주를 보낸것 같아 기분이 좋다. 눈에 띄게 성장한 수강생들도 보여 놀라기도 했다. 열심히 해준 수강생들을 칭찬하고 싶다. 어려운 문제를 선뜻 도전하지 못했던 수강생들도 반강제적으로 풀어보는 과정에서 문제를 풀어내기도 하고, 아니면 거의 근접하게 풀어내는 이번 과정을 통해 자신감을 얻었길 바래본다. 혹여나, 좌절만 겪고 어려움만 느꼈던 수강생들도 있을것인데 이번 한주간이 알고리즘의 끝이 아닌..

한화시스템 beyond 7기 - 6주차회고

이번주까지 java 기본강의가 마무리가 완료됐다. java 후반부에 특히 수강생들이 어려워 하는 부분이 집중되었는데, 어느 것 하나 빠뜨리지 말고 잘 정리했으면 한다. 람다함수 , StreamApi, Optional객체, 제네릭, 예외처리, 파일처리(json), 스레드관련 이슈 등 다소 생소했을법한 요소들에 대한 정리가 반드시 1번은 필요할것으로 보인다. 이 파트들은 면접에서 java관련 심화적인 질문이 충분히 될 수 있기에 추후 면접전에도 한번은 훑어보길 바란다. 마지막 시간에 다룬 리플렉션과 어노테이션에 대한 개념도 추후 스프링에서 지속적으로 언급이 되기에, 실습코드를 위주로 다시한번 감을 잡을수 있으면 좋겠다. ps)이번주도 즐겁게 강의할수 있게 매시간 집중해주는 수강생들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다..